원대리

본문 바로가기 초점을 받기위한 요소

원대리

인제군 인제읍지도(위에서부터 하단으로 서화면, 북면, 인제읍, 남면, 기린면, 상남면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군의 소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본래 현내면(縣內面)이라고 하여 하도리(下道里), 상도리(上道里), 덕산(德山), 덕적리(德積里), 청계동(?溪洞), 고사동(古沙洞), 7개리를 관할하였는데 1906년에 군내면(郡內面)으로 고치고 상도(上道), 동(東), 남 (南), 북(北), 합강(合江), 덕산(德山), 니(泥), 가아(加兒), 덕적(德積), 고사(古沙), 차평(車坪)의 11개 里로 개편(改編)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行政區域) 통폐합에 따라 동면(東面)의 원대(院垈), 하추동(下楸洞), 이탄(耳呑)을 편입(編入)하여 귀둔(貴屯), 하추(下楸), 원대(院垈), 가리산(加里山), 고사(古沙), 남북(南北), 상동(上洞), 합강(合江), 가아(加兒), 덕산(德山), 덕적(德積)의 11개 리로 개편하고 1916년 인제읍(麟蹄邑)으로 고쳤다. 1948년 38˚선이 생기면서 38˚선 이북 10개 리가 共産 治下로 넘어가고 38˚선 이남 원대리는 홍천군(洪川郡) 신남면(新南面)에 편입되었다가 1951년에 다시 편입되어 11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으며, 1979년 5월 1일 대통령령 제9409호에 의거하여 읍으로 승격하였으며 행정리(行정리)는 19개리다. 동쪽으로는 양양군 서면(西面), 서쪽은 남면(南面), 남쪽은 기린면(麒麟面)과 남면 북쪽은 북면에 닿아 있고 군 단위 기관이 집중되어 있다

원대리

본래 동면지역으로서 院집이 있었음으로 원터, 원대(院垈)라 했다고 전하고, 관음원(觀音院)이란 소암자(小庵子)가 있었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전해오고 있다. 1919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원대리(院垈里)라 하였다.

간촌(間村)
샛말로 현재 원대초등학교가 있는 마을
낡은텃골
샛말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내삽현(內揷峴)
안삽재
내회동(內繪洞)
안저울
너래물나들이
옹달말과 희동의 경계지점으로 물가에 너래가 많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다름고개
다름재
다름재1
박달고치
다름재2
박달고치에서 남전리 반장동으로 가는 고개
말거리
안삽재에서 기린면 토현마을로 넘어가는 고개
무등목
응달말 동북방향에 있는 작은 동산
물알
간촌아래 마을로 마을에서 흘러내리는 냇물이 내린천과 합수되는 곳을 말한다.
물앙골
물안골
뭔골1
응달말
뭔골2
응달말 서남간에 위치한 깊은 골짜기
꺽지소
양지말서 응달말로 가는 내길 위에 있는 소로 꺽지가 많아서 꺽소라고 하였으나 지금은 수해로자취만 남아 있다.
미아골
응달말에서 희동으로 가는 길에서 서쪽에 위치한 골짜기
바깥삽재
삽재 바깥쪽에 있는 마을
바깥저울
저울 바깥쪽에 있는 마을
박달고치1
윗고개 북쪽에 있는 마을로 다름재 아래가 된다.
박달고치2
다름재
배터께
장수대에서 원대리로 가는 나루터를 말하나 1976년에 교량을 설치하여 지금은 나룻배를 사용하지 않는다.
분고개
안저울과 바깥저울의 두 마을 중심에 있는 고개로 분치(分峙)라고도 한다.
분치(分峙)
분고개
붕고개
분고개
비로꼴
비록골
비록골(飛鹿谷)
지형이 사슴이 날아다니는 형상이라 지은 이름으로 응달말에서 희동으로 가는 골짜기를 말한다.
비록동(飛鹿洞)
방골, 밤나뭇골이라고도 부른다.
삽재1
응달말의 이명
삽재2
삽재 마을에서 고사리의 장수터로 가는 고개
샛말
간촌·응달말과 원대 사이에 있는 마을 (지금의 학교가 있는 마을)
선유동(仙遊洞)
옛날에 선녀들이 놀던 곳이라 하여 지은 이름
수침동(水寢洞)
무안골
싸리재
싸리가 무성하다해서 지은 고개 이름
안두리
내린천이 굽이쳐 흐르는 안쪽에 있는 들이라 하여 원래는 안뜰이라 하였는데 세월이 굽이쳐 흐르면서 안두리로 변하였다. 들의 면적은 이만여평이 넘으나 실 경작지는 만여평에 불과하다.
안삽재(內揷在)
응달말 동쪽에 있는 마을
안저울(內檜洞)
저울 안쪽에 있는 마을로 예전에 잣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양지말(陽地洞)
샛말
역논
응달말 중앙에 있으며 면적은 천여평에 불과하다. 조선시대에 역둔전이었다고 한다.
역답(驛沓)
역논
와현1(瓦峴)
욋고개1
와현2(瓦峴)
욋고개2
욋고개1
원대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욋고개 밑이 된다.
욋고개2
원대리에서 남면 남전리로 가는 고개로 옛날에 기와점이 있었다고 하나 자취를 찾을 수가 없다.
외삽현(外揷峴)
바깥삽재
외회동(外檜洞)
바깥저울
왜갈산
응달말과 양짓말 사이에 있는 산으로 왜가리가 많이 서식했다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왜골
응달말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음지동(陰地洞)
응달말
원대(院垈)
샛말과 와현 사이에 있는 마을로 원터라고도 한다.
응달말
삽재, 바깥삽재, 응달마을, 음지촌이라고도 하나 지금은 응달말, 뭔골이라고 부른다.
장군바우
장군석
장군석(將軍石)
구한말시대 장군이 큰 반석을 옮겨 놓았다 하여 불려진 이름이며 이곳에서 좀 떨어진 곳에 굴이 있는데 6.25당시 지방인사와 경찰관들이 이곳에서 피난하였다고 한다.
저울(檜洞)
바깥저울과 안저울을 통칭하는 이름
절골(寺谷)
욋골과 바깥저울 사이에 있는 골짜기로 절이 있었다고 하며 지금도 3m 높이의 돌탑이 있다. 이곳에 있었던 절 이름이 문헌상에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관음원(觀音院)"이었다는 말이 전해오고 있으며 사학자였던 故 김중권(金重權)씨는 원대리가 은리(隱里)로 표기된 고적자료를 들어 "숨은 곳에 있는 절"이라 설명하고 신라말기에 낙랑공주와 죽방부인 박씨가 머물러 있던 "둔도암"일 것이라는 해석을 한 바 있다.
정자동(亭子洞)
정짓골
정짓골
안삽재에서 기린면 북리 다락구미로 넘어가는 골짜기를 말하며 옛날에 정자가 있었다고 한다.
조동(鳥洞)
샛말, 새마을의 잘못된 한문표기로 한국독립사 하권에 실린 무장항쟁일지 내용중 "1908. 7. 1 50인 인제동북방 조동에서 교전"으로 기록된 것은 샛말의 잘못된 표기임.
조롱고개
외삽현에서 내삽현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고개가 낮아 조롱하며 넘는 고개라해서 붙여진 이름 ◆ 쪽박골 열녀 삼척김씨 묘가 있는 골짜기
천연대동(千年代洞)
천연덕골
천연덕골
샛말과 욋고개 사이에 있는 마을
천연터골
천연덕골
청량골(?陽谷)
내삽현과 배터께로 이어지는 골짜기
청량동
청량골
풍덩골
샛말 남쪽 골짜기
해기네터골
천연덕골 건너마을
학인대동(學仁垈洞)
해기네터골로 불리웠으나 지금은 거의 사용하는 사람이 없다.
화채간터
응달말 중앙을 흐르는 물가를 말하며 상여집이 있었다.
만족도 조사

페이지 평가

이 페이지 정보가 도움이 되셨나요?

푸터 시작